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957
한자 慶山鄕校 大成殿 三門
영어공식명칭 Daeseongjeon Shrine and Main Gate of Gyeong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이칭/별칭 경산향교 대성전 삼문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향교길 14-19[중방동 76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390년 - 경산향교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550년 - 경산향교 중창
개축|증축 시기/일시 1633년 - 경산향교 중창
이전 시기/일시 1684년 - 경산향교 경상북도 경산시 옥곡동에서 신교동으로 이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702년 - 경산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15년 - 경산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21년 - 경산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25년 - 경산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58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03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08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37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50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62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69년 - 경산향교 삼문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9년 - 경산향교 대성전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8월 5일연표보기 - 경산향교〈대성전, 삼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5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8년 - 경산향교 삼문 중수
이전 시기/일시 1997년 - 경산향교 경상북도 경산시 신교동에서 중방동으로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4월 8일연표보기 - 경산향교〈대성전, 삼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 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2013년 4월 8일연표보기 - 경산향교〈대성전, 삼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5호 해제
현 소재지 경산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향교길 14-19[중방동 760]지도보기
원소재지 경산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옥곡동 지도보기
성격 사묘
양식 맞배지붕[대성전]|맞배지붕[삼문]
정면 칸수 3칸[대성전]|3칸[삼문]
측면 칸수 2칸[대성전]|1칸[삼문]
소유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리자 경산향교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에 건립된 경산향교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개설]

경산향교(慶山鄕校)는 조선 시대 경상도 경산현(慶山縣)에 건립된 공립 교육 기관으로 교육과 제향 기능을 한다. 대성전(大成殿)은 향교에서 공자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를 지내는 곳이다. 삼문은 향교의 출입문인 외삼문과 제향 공간으로 진입하는 내삼문이 있다. 경산향교에 남아 있는 대성전과 삼문[내삼문]은 현대에 복원된 것이 아니라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건축학적 가치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위치]

경산시청 남쪽 맞은편의 낮은 구릉 위에 경산향교가 위치한다. 구릉 위로 향하는 작은 길을 따라가면, 가장 먼저 대성전이 위치한 제의 공간이 있다.

[변천]

경산향교는 고려 후기인 1390년(공양왕 2)에 건립되었다. 이때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文廟)가 갖추어지면서 대성전과 삼문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550년(명종 5) 경산현령 박세린(朴世麟)과 1633년(인조 11) 현령 박창(朴敞)이 각각 경산향교를 중수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에는 경산향교 교복(校僕) 강개명(姜開明)이 대성전에 봉안된 오성(五聖)의 위패를 성암산(聖巖山)[472m] 석굴 속에 숨겨 소실되지 않았다.

1684년(숙종 7) 현령 홍처공(洪處恭)의 주도로 대성전을 비롯한 경산향교 전체가 구교동(舊校洞)[현 경상북도 경산시 옥곡2동]에서 신교동(新校洞)[현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 84]으로 이건되었다. 이후 대성전은 여러 차례 보수가 이루어지는데, 기록에 따르면 1702년(숙종 28) 현령 이발(李渤)과 교임(校任) 류포(柳浦), 1715년 현령 심용준(沈龍浚)과 교임 조동기(趙東箕)·한두산(韓斗山)·나학해(羅學海), 1721년(경종 1) 현령 이정량(李廷亮), 1725년(영조 1) 현령 윤해(尹楷)에 의해 각각 보수가 이루어졌고, 1758년 현령 이이병(李頤炳), 1803년(순조 3) 현령 이지순(李志淳)과 교임 손홍점(孫弘漸), 1808년 현령 박종서(朴宗恕)와 교임 이경(李璟), 1837년(헌종 3) 현령 성재호(成載護)와 교임 정진방(鄭鎭邦)·장용복(蔣容復), 1850년(철종 1) 현령 강희영(姜羲永)에 의해 각각 중수가 이루어졌다고 전한다. 또한 1862년에 대성전 수즙(修葺)이 있었으며, 1939년에는 경산군수(慶山郡守) 소진우(蘇鎭禹) 주도로 중수가 진행되었다. 한편, 삼문인 정신문(正神門)은 1869년(고종 6)과 1988년에 중수되었다.

1930년대 이후 경산향교가 경산공립보통학교[현 경산초등학교]에 부지를 제공함에 따라 대성전과 삼문을 제외한 건물들이 해체되었다. 1997년 도로확장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경산시 중방동으로 대성전과 삼문을 이건하였다.

[형태]

경산향교는 제의 공간인 대성전·동무·서무가 앞쪽에 있고, 강학 공간이 뒤쪽에 있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형태를 띠고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삼익공(三翼工)의 주심포(柱心包) 양식이다. 1.2m 높이의 석축 기단 위에 세워져 경산향교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대성전은 맞배지붕 건물임에도 좌우에 충량을 두어 지붕형식이 팔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의 측면에는 풍판(風板)이 있다. 용척 및 공포 초각 기법 등으로 보아 조선 전기와 후기 사이의 건물로 이해된다.

삼문인 정신문은 향사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기둥 위를 외일출목(外一出目) 이익공(二翼工)으로 장식하여 내삼문으로서는 드물게 격식을 갖추어 놓았다. 건립 연대는 대성전과 동일한 시기로 파악된다. 기둥 등 주요 부재는 1988년 중수 당시 새롭게 교체되었다.

[현황]

1985년 8월 5일 ‘경산향교대성전삼문’이란 명칭으로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5호에 지정되었으며, 2013년 4월 8일에는 ‘경산향교〈대성전, 삼문〉’이란 명칭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로 승격되었다. 1998년부터 경산향교 복원 공사가 진행되어 2000년 무렵, 대성전과 삼문 이외에 동무·서무·명륜당·외삼문 및 기타 부속 건물이 갖추어졌다. 경산향교는 소설위 향교로,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동국18현(東國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향사를 거행한다.

[의의와 평가]

경산향교에 있는 대성전과 삼문은 향교를 구성하고 있는 건물 중 유이하게 전통 시대 때 건립된 것이어서 건축학적 가치가 남다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