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469 |
---|---|
한자 | 坪山洞- |
영어공식명칭 | Menhir of Pyeongsan-dong |
이칭/별칭 | 평산동 입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입석길 34[평산동 67]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재현 |
현 소재지 | 평산동 선돌 -
경상북도 경산시 입석길 34[평산동 67]![]() |
---|---|
성격 | 선돌 |
크기(높이,길이,둘레) | 210㎝[높이]|55㎝[너비]|25㎝[두께] |
관리자 | 경산시 |
경상북도 경산시 평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평산동 선돌은 경상북도 경산시 평산동 선돌배기마을 안에 있는 청동기 시대 신앙 및 의례 유적이다. 선돌은 다듬지 않은 돌을 자연석 그대로 똑바로 세운 것으로 입석(立石)이라고도 한다.
평산동 선돌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평산동 지역에 거주하던 청동기 시대 사람들에 의해 신앙의 대상물로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천 변 가까이에 위치한 대정동 선돌과 입지가 비슷한 점으로 보아 경계의 표시로 세워졌을 가능성도 있다.
평산동 선돌은 남성초등학교에서 남쪽으로 170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선돌배기마을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선돌 남쪽으로는 작은 구릉이 있으며, 북쪽에는 들판이 형성되어 있다.
평산동 선돌의 형태는 4면으로 구성된 기다란 장대석 형태로 단면이 세장방형을 취하고 있다. 4면은 각이 져 있고, 각 모서리에는 인위적으로 다듬은 흔적이 확인된다. 선돌의 재질은 화강암이다. 전체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기울어진 쪽에는 시멘트로 바닥 일부를 보강하였다. 크기는 높이 210㎝, 너비 55㎝, 두께 25㎝ 정도이다.
평산동 선돌은 민가 마당 남쪽에 설치된 철제 펜스에 접하여 있다. 선돌에 대한 별도의 안내 표지판은 없다.
평산동 선돌은 청동기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선돌이 위치한 선돌배기마을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마을 가운데에 큰 돌이 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여기서 큰 돌은 선돌을 가리키며, 이로 볼 때 선돌은 마을이 형성되기 전부터 존재하였던 오래된 유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