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읍지』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읍지」[1878]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587
한자 慶尙道邑誌慶山縣河陽縣慈仁縣邑誌
영어공식명칭 『Gyeongsang-do Eupji』「Gyeongsan-hyun·Hayang-hyun·Jain-hyun Eupji」[1878]
이칭/별칭 경상도경산현읍지,하양현읍지,자인읍지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78년연표보기 - 『경상도읍지』 편찬[1878]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성격 읍지
편자 경산현|하양현|자인현
권책 14책
행자 10행 16자|10행 20자

[정의]

1878년 편찬된 경산현·하양현·자인현의 읍지.

[개설]

1878년(고종 15)에 편찬된 『경상도읍지』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원래 규장각에 보관하고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직전 초대 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약탈해 갔다가, 100여 년 만인 2011년에 일본으로부터 반환받았다. 총 74책의 분량으로 『경상도읍지』는 제37책부터 제50책까지 수록되어 있다.

[저자]

『경상도읍지』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읍지」[1878]는 경상감영의 지시에 따라 1878년 당시 지방관이었던 경산현령 이만승(李晩昇), 하양현감 이만수(李晩綏), 자인현감 정원기(鄭元基) 주도로 편찬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1878년 경상감영은 관내 각 고을에 읍지 편찬을 지시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세 고을은 1832년(순조 32) 『경상도읍지』의 유형을 따라 각각 읍지를 편찬하게 된다.

[형태/서지]

『경상도읍지』는 총 14책의 필사본이다. 이 가운데 경산현은 제50책에 「경상도경산현읍지」, 하양현은 제50책에 「하양현읍지」, 자인현은 제46책에 「자인읍지」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분량은 「경상도경산현읍지」가 23장, 「하양현읍지」와 「자인읍지」는 26장이다. 행자수는 「경상도경산현읍지」가 10행 16자, 나머지 두 읍지는 10행 20자이다.

[구성/내용]

「경상도경산현읍지」는 지도·강역·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산천·풍속·방리·호구·전부(田賦)·전세·요역·군액·성지·대동·축물(畜物)·봉수·학교·원(院)[서원]·단묘·불우·누정·도로·교량·제언·장시·역원·목장·형승·고적·토산·진공·봉름·환적·과거·관작(官爵)·충·효자·효부·열녀·인물·제영·비(碑)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산현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생략하였다. 1786년(정조 10)에 편찬한 구지를 바탕으로 호구·환적·인물 관련 내용을 보충하였다. 환적조에는 1874년(고종 11)에 부임한 박헌양(朴憲陽)까지 기재되어 있다. 비판조에는 이전에 있던 『외암집(巍巖集)』 책판을 생략하였으며, 비조에는 서사선(徐思選)의 비문을 실었다. 호구는 1876년(고종 13)의 병자식을 기준으로 3,162호, 16,132구로 나타난다.

「하양현읍지」는 지도·건치연혁·현명·관직·성씨·산천·능묘[무(無)]·관애[무]·진보[무]·도서[무]·성지[무]·방리·풍속·호구·공해·학교·단묘·누정·불우·도로·교량·장시·역원·목장[무]·토산·진공·제언·군기집물·요역·봉름·환적·인물·효열·고적·읍사례대개(邑事例大槪)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구는 1,750호, 7,525구인데, 기준 연도가 없다. 환적조에는 1878년(고종 15) 부임한 이만수(李晩綏)까지 수록하였으며, 과거와 책판은 생략하였다. 고적조에는 허조(許稠)의 허문경공묘지명(許文敬公墓誌銘), 허후(許詡)의 허정간공전(許貞簡公傳), 황경림(黄慶霖)의 면와황공묘갈명(勉窩黃公墓碣銘), 김시성(金是聲)의 김통상공묘갈명(金統相公墓碣銘)처럼 비판(碑板)에 해당하는 것들을 수록해 놓았다.

「자인읍지」는 지도·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산천·풍속·방리·호구·전부·요역·군액·성지[무]·창고·관방[무]·진보[무]·봉수[무]·학교·단묘·능묘[무]·불우·궁실·누정·도로·교량[무]·도서[무]·제언·장시·어염[무]·역원·목장[무]·형승·고적·토산·진공·봉름·과거·인물·제영·비판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에서 하천과 산은 푸른 색, 도로는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다. 호구는 1876년에 해당하는 병자식으로 3,254호, 12,839구이다. 1832년의 『경상도읍지』와 비교해 보면 궁해가 궁실로 나오고, 어염 항목이 추가되어 있으며, 임수·군기·환적 항목은 없다.

[의의와 평가]

『경상도읍지』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읍지」[1878]는 18~19세기에 편찬된 여러 관찬 읍지 중 내용이 비교적 풍부하여 당시 경산 지역의 실태를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