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673 |
---|---|
한자 | 鄭應智 |
영어공식명칭 | Jung Eungji |
이칭/별칭 | 원도(源道),농수(農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568년![]() |
---|---|
활동 시기/일시 | 1604년 - 정응지 하양현 이거 |
활동 시기/일시 | 1641년 - 정응지 가선대부 승품 |
몰년 시기/일시 | 1643년![]() |
추모 시기/일시 | 1910년 - 영모재 건립 |
추모 시기/일시 | 1927년 - 애련정 중건 |
출생지 | 정응지 출생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
거주|이주지 | 정응지 이주지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환상리
![]() |
묘소|단소 | 정응지 묘소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 |
사당|배향지 | 정응지 우모소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인안길20길 104-6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동래 |
대표 관직|경력 | 가선대부 |
조선 후기 경상북도 경산 지역에 정착한 학자.
정응지(鄭應智)[1568~1643]는 경산 지역에 정착해 건흥지(乾興池)와 만세보(萬世洑)를 축조하였다.
정응지의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원도(源道), 호는 농수(農叟)이다. 아버지는 도사(都事)를 지낸 정상(鄭詳), 어머니는 김성탁(金聖鐸)의 딸 경주 김씨(慶州金氏), 할아버지는 진사 정구수(鄭龜壽), 증조할아버지는 진사 정안충(鄭安忠)이다. 정응지의 부인은 박희영(朴禧永)의 딸 정부인(貞夫人) 순천 박씨(順天朴氏)와 신병원(申秉元)의 딸 정부인 평산 신씨(平山申氏)이다. 정응지의 선대는 경주·영천 일대에 세거하다가, 정응지 대에 경산으로 이거하였다.
정응지는 1568년(명종 22) 경상도 경주부 교동(校洞)에서 출생하였다. 1590년(선조 23) 위독한 아버지를 위해 자신의 손을 깨물어 피를 입속으로 흘려보내니, 사흘 동안 목숨이 연장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정응예(鄭應禮), 동생 정응삼(鄭應參)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형의 만류로 홀로 참여하지 않고 노모를 봉양하였다.
1604년(선조 37) 영천군(永川郡)에서 하양현(河陽縣) 건흥(乾興)[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환상리]으로 이거하였다. 어느 날 정응지는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한 노인이 나타나 하늘에서 눈을 내렸으니 백성을 위해 그곳에다 못[지(池)]을 축조하라고 지시하였다. 꿈에서 깬 정응지는 과연 들판에 큰 눈이 내려 있는 것을 보게 되고, 그곳에 큰 못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1607년(선조 40) 2월 못을 완공한 뒤 ‘건흥지(乾興池)’라 명명하였는데, 이후 건흥들의 중요한 농업용수로 활용되었다. 또한 정응지는 사재를 털어 금호강 상류에 만세보(萬世洑)를 축조하기도 했다. 1613년(광해군 5) 건흥지 위에다 애련정(愛蓮亭)을 짓고 소요하였다.
1617년(광해군 9) 애련정을 방문한 정구(鄭逑)[1543~1620]는 정응지를 ‘은군자(隱君子)’라고 불렀다. 그리고 이때 정응지는 정구에게 문인이 되기를 청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연로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641년(인조 19) 천거되어 품계가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정응지의 묘소는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익곡산(益谷山)에 있다.
1910년 정응지의 묘소를 관리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영모재(永慕齋)[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가마실길 113-18]를 건립하였다. 1927년에는 허물어진 애련정[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인안길20길 104-6]을 중수한 뒤, 정응지의 우모소(寓慕所)로 삼았다. 1926~1927년 이 지역에 수리사업이 진행되면서 정응지의 공적이 더욱 두드러졌다. 이 무렵 애련정 뒤에 정응지를 기리는 농수정공포공비(農叟鄭公褒功碑)가 세워졌는데, 송준필(宋浚弼)[1869~1943]이 비문의 시를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