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876 |
---|---|
한자 | 慶山知識産業地區 |
영어공식명칭 | Gyeongsan Knowledge Trading Estate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촌면 소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노광 |
준공 시기/일시 | 2022년![]() |
---|---|
최초 설립지 | 경산지식산업지구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촌면 소월리 |
현 소재지 | 경산지식산업지구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촌면 소월리![]() |
성격 | 지식 산업 단지 |
면적 | 3.823804㎢ |
전화 | 053-802-5344 |
홈페이지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https://www.dgfez.go.kr)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 와촌면 소월리 일원에 조성 중인 첨단 지식 산업 지구.
경산지식산업지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와 와촌면 소월리 일원에 조성될 예정인 첨단 지식 산업 지구이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지식 기반 산업이란 창의적 정신 활동에 의하여 고부가 가치의 지식 서비스를 창출하는 산업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산업 등 지식의 집약도가 높은 산업을 말한다. 이러한 지식 기반 산업의 집적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고시된 지역이 지식 기반 산업 집적 지구이다.
경산지식산업지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11개년에 걸쳐 조성되고 있는 첨단 지식 산업 지구이다. 경산 지역은 우수한 인력 확보가 용이한 학원 도시인 동시에 첨단 기술 관련 R&D 기관이 집중되어 있으며, 구미·포항·울산 지역에 소재한 글로벌 기업과의 접근성도 우수하다. 경산지식산업지구는 이러한 여건을 활용하여 교육 및 연구 시설, 그리고 첨단 산업이 융합한 지식 산업 허브를 조성하고, 나아가 지역 사회 발전에 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조성하고 있다.
경산지식산업지구 조성 사업 시행사는 대우건설과 경상북도개발공사 등이 출자하여 2012년 1월 설립한 특수 목적 법인인 경산지식산업개발이다. 총사업비는 1조 363억 원이며, 2015년 4월에 착공에 들어갔다. 1단계 지구의 경우 2020년 11월 말 현재 98%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2단계 지구는 2020년 11월 27일에 기공식이 개최되었다. 2단계 지구의 준공은 2022년 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산지식산업지구의 총면적은 382만 3,804㎡이며, 산업 시설 용지 165만 6,909㎡[43%], 연구 시설 용지 21만 8,376㎡[6%], 업무 시설 용지 5만 2,661㎡[1%], 물류 시설 용지 12만 3,174㎡[3%], 공공 기반 시설 용지 151만 8,145㎡[40%], 주택 건설 용지 9만 7,263㎡[3%], 근린 생활 시설 용지 5만 4,170㎡[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 시설 용지는 기계부품특화단지, 첨단의료기기 및 메디컬신소재, 연구개발 등 크게 3개 용도로 구분하여 관련 업종을 유치 중이다. 염색·표백·도금 업종 및 중금속 등 특정 유해 물질과 공해 과다 배출 업체, 관리 기관이 인정하는 환경 유해 업종은 입주가 제한된다.
경산지식산업지구에는 2019년 12월 기준 차세대건설기계부품융복합센터, 철도차량융합부품기술센터, 무선전력전송기술센터, 차세대건설기계부품설계지원센터, 첨단메디컬융합섬유센터, 메디컬융합소재실용화센터 등 6개 국책 연구 기관이 들어서 있다. 또한 다비치안경체인, 월드트랜드, 1프로더마톨리지글로벌, 태영필트알파신소재, 서명, 서원테크, 대동테크, 제광산업공사, 기승정공, 동산글로벌, 세아건설기계장비 등 총 127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