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911 |
---|---|
한자 | 慶山- |
영어공식명칭 | Gyeongsan Bus |
이칭/별칭 | 홍아여객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원효로 606[당리리 6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경희 |
설립 시기/일시 | 1979년 12월 5일![]() |
---|---|
개칭 시기/일시 | 1988년 12월![]() |
이전 시기/일시 | 2017년 - 경산버스, 대구광역시에서 경상북도 경산시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홍아여객자동차 시외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99[만촌동 1041-1] |
주소 변경 이력 | 경산버스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원효로 606[당리리 60] |
현 소재지 | 경산버스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원효로 606[당리리 60]![]() |
성격 | 운수업체 |
설립자 | 홍영기 |
전화 | 053-801-8347 |
홈페이지 | 경산버스(http://www.gsbg.co.kr)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당리리에 있는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운수업체.
경산버스는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영업 중인 시내 및 시외버스 업체이다. 코리아와이드대화와 더불어 경산시에서 영업 중인 2개 시내버스 업체 중 한 곳이다.
경산버스는 경산 지역에서 지역민의 교통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홍영기가 설립하였다.
경산버스는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1979년 12월 5일 홍아여객자동차 시외부로 설립되었으며, 1988년 12월에 경산버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9년 차고지를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당리리[현 압량읍 당리리]로 이전하였다. 2009년 1월부터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도시 철도와 경산시 시내버스 무료 환승 제도를 도입하였다. 2017년에 사무실을 대구광역시에서 경산시로 이전하였으며, 2020년 1월 말 시외사업부를 인터시티경산이라는 법인으로 분리하였다.
경산버스는 대구광역시와 경산시를 오가는 시내버스, 경산시 읍면을 연결하는 지선 및 순환선 버스, 경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경상북도 청도군·경상남도 밀양시·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등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경산버스는 시내버스 121대와 시외버스 21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구·경북권 시외버스 회사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2020년 6월 현재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은 100번, 100-1번, 109번, 399번, 509번[대구광역시 삼천리버스·경신교통과 공동 배차], 803번[코리아와이드대화와 공동 배차], 809번[코리아와이드대화와 공동 배차], 814번, 818번, 818-1번, 840번[대구광역시 경상버스·한일운수와 공동 배차], 911번, 918번, 939번[대구광역시 세진교통과 공동 배차], 990번, 991번 노선이다. 이외에 지선 버스는 남천1번, 진량1번, 진량2번, 압량1번, 남산1번, 남산2번, 용성1번, 와촌1번, 와촌2번 노선을 운행하며, 순환선은 경산1번과 1-1번, 경산2번과 2-1번 노선을 운행 중이다. 시외버스는 용계리-정대리-각북-풍각, 경산-청도-풍각, 동대구-경산-자인-동곡-대천-운문사-언양, 경산-자인-용성-운문사, 동대구-경산-청도-상동역-밀양-남명리-얼음골-신복-울산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경산버스는 경산시의 향토 기업으로, 경산 시민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