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1098 |
---|---|
한자 | 大邱大學校 |
영어공식명칭 | Daegu University |
이칭/별칭 | 대구맹아학원,한국이공학원,한국사회사업학교,한국사회사업대학,한국사회사업초급대학,한사대학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내리리 1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채광수 |
인가 시기/일시 | 1947년 5월 22일 - 사설 학술 강습회 대구맹아학원 인가 |
---|---|
개칭 시기/일시 | 1951년 7월 26일 - 사설 학술 강습회 대구맹아학원에서 대구맹아학교로 개칭 |
이전 시기/일시 | 1954년 10월 9일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서 남구 대명동으로 이전 |
인가 시기/일시 | 1956년 6월 16일 - 한국이공학원 인가 |
개칭 시기/일시 | 1956년 6월 16일 - 대구맹아학교에서 한국이공학원으로 개칭 |
개교 시기/일시 | 1956년 7월 2일 - 한국이공학원 개교 |
개칭 시기/일시 | 1957년 2월 1일 - 한국이공학원에서 한국사회사업대학으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1962년 2월 28일 - 한국사회사업대학에서 한국사회사업초급대학으로 개칭 |
이전 시기/일시 | 1979년 3월 1일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서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1979년 12월 13일 - 한국사회사업초급대학에서 한사대학으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1981년 7월 31일 - 한사대학에서 한사대학교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1981년 10월 20일 - 한사대학교에서 대구대학교로 개칭 |
최초 설립지 | 사설 학술 강습회 대구맹아학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 |
주소 변경 이력 | 대구맹아학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2288 |
주소 변경 이력 | 한국이공학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구 2580 |
주소 변경 이력 | 한국사회사업대학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3구 2572 |
주소 변경 이력 | 한사대학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내리리 15] |
현 소재지 | 대구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내리리 15] |
성격 | 사립 종합대학교 |
설립자 | 이영식 |
전화 | 053-850-5000 |
홈페이지 | http://www.daegu.ac.kr |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에 있는 사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대구대학교가 지향하는 교육 목표는 ‘유능한 전문 직업인’, ‘선도적 복지 인재’, ‘진취적 민주 시민’이며, 교훈은 ‘큰 뜻을 품어라’이다.
[변천]
대구대학교는 1947년 4월 9일 대구 지역 소재 중앙교회에서 개교한 대구맹아학원[입학생 12명]에서 비롯되었으며, 설립자는 이영식(李永植)[1894~1981]이다. 대구맹아학원은 정식 인가를 받지 않았으므로, 그해 5월 22일 제일교회를 교사(校舍)로 지정하여 사설 학술 강습회 대구맹아학원으로 한시적 인가를 받았다. 1949년 2월 5일에 대구시 소유 건물을 임차하여 이전한 뒤, 11월 9일에 설립 재허가를 받았다. 1950년 6월 2일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학제를 중등과로 확대 개편하였다. 초기의 재정적 어려움은 국내·외 성금으로 극복하였다.
1951년 7월 26일에 교명을 대구맹아학교로 개칭하였다. 1953년 대구시가 대명동에 1만평 부지를 제공하자 운크라 재단 등의 해외 원조를 받아 1954년 10월 9일에 새로운 교사를 건립하였다. 1956년 6월 16일에는 사설 학습강습소 형태인 한국이공학원(韓國理工學院)을 인가 받아 개강하였다. 당시 설치 학과는 유기·무기공업화학과, 가정학과 3개 학과였으며, 모집 정원 300명에 강습 연한은 1년 과정이었다. 한국이공학원의 설립은 정규 대학을 위한 첫 단계 사업이자, 사실상 오늘날 대구대학교의 모체이다.
1957년 2월 1일 이사회에서 정규 대학 설립을 논의하면서 교명을 한국사회사업대학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80명 정원의 4년제 대학으로 인가를 받았고, 학과를 개편하였다. 1959년 12월 24일에는 미국맹인협회 등의 지원으로 대구시로부터 학교 부지를 완전 매입하여 대명동 캠퍼스 시대를 열었다.
1961년 제정된 대학 정비령에 따라, 정비 대상으로 지정되어 2년제 초급 대학으로 격하되었다. 이에 따라 1963년까지 특수교육과와 사회복지과 정원이 각각 80명으로 제한되었다. 4년제 대학으로 다시 승격된 이후 산업복지학과를 신설하면서, 특수교육 및 사회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의 기틀을 다졌다.
1971년 12월 31일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산23번지 일대의 부지 6만평을 매입하여, 새 캠퍼스 공사를 시작하였다. 1979년 3월 1일에 캠퍼스 이전과 함께 한사대학으로 교명을 개칭하였다. 또한, 입학 정원 확대, 학과 증설 및 개편 등을 통해 발전의 시기를 맞았다. 1981년 7월 31일에는 한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같은 해 10월 20일 교명을 대구대학교로 확정하였고, 1982년 3월 1일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종합대학 승격 이후 학부 편제와 학사 제도를 변화시키고, 자매 결연 및 협력 학교 지정, 편의 시설 확충, 학원 민주화, 전임 교수 충원 등을 통해 다양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2001년 11월 10일에는 대구사이버대학교를 설립하였다.
[교육 활동]
대구대학교는 ‘홍익인간 이념과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만인 복지의 실현’을 교육 이념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을 위한 교육 활동 노력은 4단계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설립 초창기로, 시각·청각 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공업계열 학과를 신설하여 대학에 준하는 교육 과정을 구축하였다. 이는 향후 특수교육학 및 사회복지학과의 교육 과정으로 발전하는 데 토대가 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1964년부터 1981년에 해당되는 한국사회사업대학과 한사대학 시기로, 입학 정원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경산캠퍼스 이전, 학과 증설, 대학원 개설, 학술 교류, 점자도서관 개관을 비롯하여 외형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다.
세 번째 단계는 종합대학 승격 이후인 1982년부터 1993년에 해당되는 대구대학교 시기로, 조직 정비, 학제 개편, 유능한 교수 채용, 부설 연구소 개소, 학생 복지 강화 등 각 분야에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네 번째 단계는 직선제 총장 시대인 1994년부터 현재까지이다. 수요자 중심 교육으로 질적 전환을 모색한 이 시기에는 학과 신설·통폐합, 특수대학원 설립, 해외 자매 결연 대학[기관] 확대, 해외 봉사단 파견 등을 통해 대학 교육의 내실화와 인재 양성을 이루었다.
주요 교육 성과로는 1999년 ‘사범대학 전국 최우수 대학’ 및 교육부 주관 ‘BK21’ 선정, 2002년 1월 18일 ‘평생교육사 양성 기관’ 지정, 2010년 10월 1일 ‘비수도권 졸업생 취업률 1위’ 달성, 2014년 한국장학재단 ‘지식 나눔 우수대학’과 지역 대학 유일의 ‘대학보유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선정 등이 있다.
[교가와 상징물]
대구대학교의 교가는 작사 이계택, 작곡 현인덕으로 다음과 같다.
아세아주 동쪽 끝 저기 저 멀리에/ 찬연히 밝아오는 큰 별이 하나/ 땅 위에 묵은 어둠 밝혀 보려는// 사나운 폭풍에도 꿋꿋이 굽히잖고/ 구하라 찾아가라 또 찾아가라/ 더 큰 것 더 좋은 것 더 높은 것을// 구석진 곳에서 잠잠히 꿈을 길러/ 내일 저 거친 광야로 가자/ 사랑과 지혜와 열정을 갖고// 대구대/ 대구대의/ 젊은이/ 마음
대구대학교의 교화는 백일홍이고, 교목은 소나무이며, 상징 동물은 비호이다.
[현황]
2020년 기준 총장 이하 11개 직속기구를 비롯하여 8처 2실의 대학본부, 14개의 단과대학[104개 학과]과 6개의 대학원, 16개의 부설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재적생은 학부생 2만 4502명과 대학원생 1,724명이다. 교원은 전임 593명과 비전임 725명이 재직 중으로,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31.25명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학교 용지는 총 면적 2,341,143㎡이며, 기본 시설 241,291㎡, 지원 시설 71,286㎡, 연구 시설 25,361㎡, 부속 시설 14,490㎡, 기타 시설 29,277㎡ 규모이다. 누적 졸업생 수는 총 13만 2518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