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경산문화대전 > 경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근현대 인물 > 학자·정치가·종교인
학자
-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월북 국문학자. 김삼불(金三不)[1920~?]은 해방 후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개척자로서, 고전시가와 판소리, 판소리계 소설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었다. 김삼불의 본관은 경산(慶山)이다. 경산 지역의 부유한 농민으로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었던 아버지 김술이(金述伊)와 어머니 정씨(鄭氏) 부인 사이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독립운동가. 박문규(朴文奎)[1906~1971]는 일제 강점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서 수학하고 마르크스주의 경제이론가가 되어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1930년대 중반에는 국내 공산주의그룹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944년 건국동맹을 거쳐 광복 이후 좌익계열의 민족운동에 헌신하다 미군정의 탄압이 심해지자 월북한 후 북한...
-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교육자 및 국어학자. 서재극(徐在克)[1931~1996]은 경산 출신의 국어학자로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서재극의 본관은 달성(達城), 호는 들메·장산(章山)이다. 아버지는 서문열, 어머니는 밀양 박씨 박뇌미이며, 1931년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조영동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사범대...
-
개항기 경산 출신의 학자. 황재찬(黃在瓚)[1862~1919]은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군으로부터 하양 지역을 방비하기 위해 약조(約條)를 제정하였다. 황재찬의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장옥(章玉), 호는 오당(梧堂)이다. 임진왜란 때 하양현(河陽縣)에서 의병을 일으킨 황경림(黃慶霖)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황만조(黃萬祚), 어머니...
관료·정치인
-
경상북도 경산 지역 출신의 정치인. 박주현(朴柱炫)[1923~1986]은 경찰 공무원이자 경산군을 지역구로 두고 활동하였던 정치인이다. 박주현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923년 2월 3일 경상북도 경산군에서 태어났다. 박주현은 1952년 육군 하사로 제대하였으며, 1959년 경북대학교 법정대학 법학과를 졸업한 후 경찰 공무원이 되었다....
-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관료이자 정치인. 박해정(朴海禎)[1916~1966]은 경산군을 지역구로 둔 4선 국회 의원이자 관료이다. 박해정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홍지(洪之), 호는 청소(靑蘇)이다. 1916년 7월 21일 경상북도 경산군 경산읍 삼북동[현 경상북도 경산시 삼북동]에서 박순국(朴淳局)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박순국은 충간공 박눌생(...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종교인·교육자·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배은희[1887~1966]는 일찍이 기독교에 입교한 후 1920년에 목사가 되어 경주를 거쳐 전라북도 전주에서 활동하면서 여러 학교를 설립, 운영하였다. 신간회운동 등의 민족운동에도 적극 참여하면서 일제에 끝까지 저항했으며, 광복 후에는 우익 건국운동의 전면에 나섰고 이승만(李承晩) 대통령 절대지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관료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안병길(安炳吉)[1886~1936]은 일제 강점기 중추원 참의, 경상북도 관선 도평의회원(道評議會員), 경산수리조합 조합장, 경산면협의회 의원을 지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중추원 부문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안병길은...
-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관료이자 정치인. 엄민영(嚴敏永)[1919~1969]은 경산군 출신의 일제 강점기 관료이다. 해방 후에는 국회 의원과 장관, 주일한국대사를 지냈다. 엄민영의 본관은 영월(寧越)이며, 창씨개명한 이름은 기지야마 도시오[雉山敏夫]이다. 1919년 2월 4일 경상북도 경산군에서 출생하였다. 엄민영은 대구고등보통학교[현재의...
인권운동가·군인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 김순악(金順岳)[1928~2010]은 일제 강점기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동원 되었다. ‘일본군 위안부[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日本軍慰安婦]’란 일본군과 일본 정부가 중일전쟁 및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의 성욕 해결, 성병 예방, 치안 유지, 강간 방지 등을 위하...
-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군인. 김종원(金宗元)[1922~1964]은 일제 강점기 일본육군 지원병으로 입대하였다. 광복 후 육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공산게릴라 토벌대의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나, 무고한 민간인을 학살하는 잘못도 수차례 범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총애를 받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고 경찰 고위간부로 전신해서는 정치폭력을 불사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