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107 |
---|---|
한자 | 琴湖江 |
영어공식명칭 | Geumhogang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희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서 발원하여 경산시를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호강(琴湖江)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의 가사령[500m]과 성법령[709m]에서 발원하여 영천시를 거쳐 경산시 하양읍에 도달한다. 이어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는 청통천과 구룡산 및 용각산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는 오목천·남천을 합류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금호(琴湖)’라는 명칭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강변의 갈댓잎이 바람에 흔들릴 때 마치 비파[琴] 소리처럼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금호강 유역은 하천의 퇴적 작용으로 이루어진 저평한 범람원 지형이다. 금호강 유역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층인 사암과 셰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침식이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하상 퇴적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강 주변에는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전체 길이는 117.5㎞이고, 유역 면적은 2,087.9㎢에 이르는 낙동강 제1지류이다. 상류에는 영천댐이 건설되어 있고, 중류인 경산과 영천 지역에는 경상북도 제일의 평야지대인 금호평야가 펼쳐져 있다.
경산시역에 해당되는 금호강은 와촌면 계당리에서 하양읍 청천리에 이르는 약 12㎞ 구간으로 동에서 서로 관류하면서 시역을 남과 북으로 나누는 지형적 경계를 이룬다. 평균 하폭은 약 300m 정도이다.
금호강 유역의 하양 일대는 넓은 배후습지와 자연제방이 발달해 있는데, 배후습지는 논, 자연제방은 밭과 과수원·취락으로 이용된다. 현재 금호강을 따라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구간은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 안심교~경산시 하양읍 하양교~하양시장까지이다. 한편, 하양읍에 있는 금호강 대부잠수교 부근에는 사계절에 맞는 꽃단지가 조성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관광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