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329 |
---|---|
한자 | 琴樂橋 |
영어공식명칭 | Geumrak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동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준공 시기/일시 | 2000년 - 금락교 준공 |
---|---|
전구간 | 금락교 - 경상북도 경산시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금락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동서리 |
성격 | 교량 |
길이 | 44m |
차선 | 왕복 4차로 |
폭 | 17m |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와 동서리를 연결하는 다리.
[명칭 유래]
금락교(琴樂橋)는 다리가 위치한 하양읍 금락리의 이름을 따서 ‘금락교’라고 명명하였다.
[제원]
금락교는 총길이 44m, 총폭 17m, 유효폭 13m, 높이 4.4m이다. 경간 수는 3개, 최대 경간장은 16m에 달한다. 상부구조 형식은 RC슬래브교, 하부구조 형식은 중력식, 설계하중 DB-24이다.
[건립 경위]
금락교는 하양읍의 금락리와 동서리 사이 조산천(造山川)을 건너기 위해 2000년에 가설되었다.
[현황]
금락교는 조산천을 건너는 지방도 제919호 상의 교량으로, 교량의 중앙과 남부는 하양읍 금락리, 북부는 하양읍 동서리에 속한다. 금락교는 왕복 4차로 교량으로, 교량 양쪽에는 보행자를 위한 총 폭 4m의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 금락교의 2019년 평균일교통량은 8,840대에 달한다.
금락교는 다리 규모는 작지만 하양읍 소재지와 하양읍 북동부 지역, 와촌면 등지를 연결하는 주요 교량이다. 하양읍 소재지인 금락리의 중심시가지에서 금락교를 지나 지방도 제919호를 따라서 하양읍 북동부와 와촌면으로 진입하며, 와촌면 동부를 지나면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청통와촌IC[영천시 청통면]로 진입한다.
금락교를 중심으로 하주2교까지 약 700m의 조산천 강둑에는 하양5일장이 열린다. 금락교 서쪽 무학교를 지나면 조산천의 남부에 대구가톨릭대학교가 있으며, 조산천 북부는 약 48만㎡ 규모의 경산하양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2021년 준공될 예정이다. 금락교 북쪽의 하양읍 대학리, 와촌면 소월리 일원에는 약 380만㎡ 규모의 경산지식산업지구 개발사업이 2022년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