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010
한자 慈仁縣復縣運動-顚末-遺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37년 - 자인현 복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53년 - 구사부곡을 자인현에 합속

[정의]

16~17세기 자인현 복현 과정과 의의에 관한 이야기.

[개설]

행정구역이라는 것은 통치를 위한 구획이지만, 지역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이 형성되는 문화 단위가 된다. 따라서 행정구역 개편은 중앙과 지방 세력들에게 언제나 초미의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관계된 여러 세력은 명분과 실리를 내세워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하거나,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1413년(태종 13) 새 왕조 조선은 대대적인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전국을 330여 개 군현으로 획정함으로써,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한층 더 공고히 해나갔다. 이 체제는 1914년 일제에 의한 부군면 통폐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유지되며, 외적으로는 지방 통치 단위, 내적으로는 지역 정체성이 형성되는 단위가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비교적 늦은 1637년(인조 15) 복현(復縣)이라는 명분으로 경주부(慶州府)에서 독립한 자인현(慈仁縣)의 존재는 매우 흥미로운 사례라 할 수 있다. 자인현 복현이 중앙의 통치 의지보다는 지역민들의 절실한 염원으로 전개된 지역운동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복현의 주체, 자인현 재지사족의 성장]

자인현노사화현(奴斯火縣)이었다가 신라 경덕왕 대에 ‘자인’으로 이름을 고쳤다. 고대에는 이웃한 장산군(獐山郡)[경산]의 영현(領縣)이었지만, 고려 개국 후에는 지금의 경주인 동경유수부(東京留守府)로 이속되었다. 아직 중앙집권화가 미약했던 중세 초기 지방관의 파견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대신 지방관이 파견되는 큰 고을이 인접 고을을 속현으로 두고 간접적으로 통치하는 구조였다. 옛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이 시기 경산·하양·자인을 비롯해 대구·영천 등 13개 고을을 속현으로 두었다. 시간이 흐르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강화됨에 따라, 어느 정도 규모가 갖추어진 고을들은 하나둘씩 독립해 나갔지만, 자인현은 1413년 이후에도 여전히 속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런데 자인의 읍세(邑勢)는 경주의 속현이었다가 독립한 다른 고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뒤지지 않았다. 인접한 경산·하양은 고려 시대 때 독립했지만 고을 면적과 호구 및 전결 수는 자인과 엇비슷하였다. 1425년(세종 7)의 호구를 보면 하양의 경우 2,156명으로 2,226명의 자인보다 오히려 적게 나타난다. 또한 경주가 보유하고 있던 네 개의 속현 중 자인은 서쪽 63리에 위치해 지정학적으로도 가장 멀었다. 이처럼 자인은 독립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었지만, 자인 지역에서 복현을 주도할 만한 뚜렷한 재지사족 층은 15세기까지도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자인 지역에는 박(朴)·한(韓)·정(鄭)·주(周)와 같은 토성(土姓)이 있었지만, 이들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자취를 감추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복현을 주도해 나간 세력은 자인 지역에 정착한 타 고을 출신의 재지사족 가문이었다. 이들은 16세기 이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그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향교 건립과 의병 활동이다.

원래 향교는 일읍일교(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주읍에만 설치되어야 하나, 자인은 속현임에도 불구하고 1562년(명종 17)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정(李楨)의 청원으로 향교가 건립되었었다. 자인향교 건립은 지역민의 염원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단순히 교육·교화 차원의 의미만 가지는 것이 아니었다. 향교가 조선 시대 동안 향촌자치기구의 역할을 했던 만큼, 자인향교는 이제 자인 지역 사족의 사회적 구심점이 되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자인 지역 사족들의 의병 활동도 주목할 수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자인 지역에는 의병장 최문병(崔文炳)을 비롯해 여러 의병이 활약하였는데, 그 규모는 인접한 경산·하양보다 훨씬 컸다. 자인향교 건립과 운영, 임진왜란 의병 활동은 16세기 자인 지역 사족의 성장으로 이루어진 결과물이었다. 이렇게 높아진 사회적 위상을 바탕으로 자인 사족들은 16세기 후반부터 자인현 복현 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16세기 후반 경산·대구와의 합속 운동]

전통시대 지방행정에서 속현은 조세(租稅)·공부(貢賦)·요역(徭役) 등 각종 부세(賦稅)에 대하여 주읍으로부터 불합리한 대우를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주읍이 속현에게 부세 부담을 과중하게 지우는 경우도 있었고, 이를 매개로 인적·물적 자원을 침탈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자인과 경주 간의 관계도 이와 별 차이가 없었기에 자인 사족들이 복현 운동을 추진하였던 것이다.

자인 복현 운동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되는데, 첫 번째 단계는 경주에서 이탈하여 다른 고을과 합속하려는 움직임이다. 이와 관련해 경주 이씨 양월문중에는 흥미로운 문서 몇 점이 전한다. 이 가문은 조선시대 동안 경주부 유향소(留鄕所) 운영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기에 유향소 관련 자료를 비교적 많이 소장하고 있다. 이 가운데 1584년(선조 17)과 1599년(선조 32) 두 차례에 걸쳐 작성된 소지(所志)·초사(招辭)·서목(書目) 등의 문서가 경주로부터의 이탈을 시도한 자인 사족들을 대응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16세기 후반의 움직임을 재구성해 보도록 하겠다.

1584년 4월 13일 자인의 한 시장에 사족들과 백성들이 집회를 열었다. 자인과 경산의 합속을 정부에 청원하기 위해서이다. 주동자는 자인 유향소의 향임(鄕任)과 품관(品官)이었다. 이에 앞서 자인 사족들은 경주가 부세를 빌미로 과도한 공물을 요구하고 있으며, 경주와 거리가 멀어 부세 운반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감영(監營)에다 호소한 적이 있었다. 16일에는 경비 마련을 위해 집마다 쌀과 포를 거두기로 약속하고, 상경 후 정부의 관료들을 설득할 전략도 구상하였다. 이 사실을 접한 경주 관속(官屬)들은 자인의 행태를 ‘반본부(叛本府)’로 규정하고 즉각적인 처벌을 요청하였다. 그것은 바로 받아들여져 청원을 주도한 인사들이 경주부에 의해 체포되었고 공초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관련자에 대하여 본부(本府) 배반, 관부 사칭, 집회 중 농우(農牛) 도살, 인정채(人情債) 남징을 이유로 처벌이 논의되면서, 경산과의 합속은 더 이상 추진되지 못하였다.

다른 고을과의 합속 추진은 임진왜란 직후인 1599년 재개되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합속의 대상이 대구였다. 실제 정부는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소읍을 인근 대읍과 잠시나마 합속한 적이 있었다. 당시 이 움직임을 주도했던 것은 전 감목(監牧) 최문병이다. 그는 1584년 경산과의 합속 추진 때도 참가한 적이 있었으며, 임진왜란 의병 활동을 통해 대외적인 명성을 높인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 청원도 주읍인 경주의 저지로 좌절되고 만다.

[1637년 자인현 복현]

자인현 복현 운동의 두 번째 움직임은 1632년(인조 10)부터 1637년(인조 15)까지 전개되었다. 이때 자인 사족들은 경주에서의 이탈을 넘어서 완전한 독립을 청원하였고, 1637년 결실을 보게 된다. 자인 사람들에게 있어 복현은 조선 시대 동안 가장 영광스러운 사건이었다. 따라서 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읍지(邑誌)와 당시 활동했던 인사들의 문집을 통해 1632~1637년 복현 운동의 전개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이때의 복현 운동은 1632년 구사부곡(仇史部曲) 사인(士人) 백렴(白濂)이 단독으로 상소를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구사부곡은 후술하겠지만 당시 자인 사람들에게 고을의 ‘북면(北面)’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백렴의 상소가 올라가자 정부는 곧 감영에 조사를 지시하였지만, 경주부가 소송의 부당함을 아뢰는 방계(防啓)로 대응하여 저지되고 만다. 이어 1633년 6월 방희국(方熙國)·김응명(金應鳴)·이광후(李光後)·이창후(李昌後) 등이 고을 사람 300명과 함께 상소를 올려 복현을 청원하였다. 하지만 이때 청원도 경주의 방계로 좌절되었으며, 관련된 인사들이 형신(刑訊)을 당하거나 유배되었다.

1636년(인조 14)에는 백현룡(白見龍) 등이 복현을 청원하려 했는데, 때마침 병자호란이 일어나 상소를 늦추었고, 1637년 이시겸(李時馦)·김응명·이창후·백현룡 등에 의해 다시 상소가 올라갔다. 이때 정부는 경상도관찰사에게 해당 사안을 조사·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대해 경상도관찰사 이경여(李敬輿)는 복현이 타당하다는 의견으로 장계(狀啓)를 올렸고, 국왕의 윤허로 자인현 복현은 실현되었다.

1632~1637년 동안 자인 사족들은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려 복현을 청원하였고, 그때마다 경주 측에서는 방계를 통해 저지하려 했다. 당시 자인 지역 사족들은 복현의 명분으로 크게 네 가지를 내세웠다. 첫 번째는 부세 수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주부 이속(吏屬)과 사족의 횡포였다. 두 번째는 경주와 거리가 너무 멀다는 행정구역상의 비합리성, 세 번째는 다른 고을의 복현 사례, 네 번째는 자인이 즉시 독립해도 될 만큼 전결이나 호구 등의 외양적인 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었다. 위의 네 가지 명분 중 실제 이해관계와 직결되는 것은 바로 첫 번째 부세 문제였다. 경주 측에서 계속 복현을 저지하려 했던 것도 부세 행정과 무관하지 않다. 경주는 자인을 속현으로 둠으로써 부세 행정을 유리하게 운영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경주 지역 사족들도 자인의 복현 저지에 가담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자인 입장에서 경주 이속들의 연이은 횡포, 자문(尺文)[세금을 받고 내어주는 영수증]의 농간, 부세 납부 과정에서 동반되는 명목 없는 각종 인정비, 그것을 채워주지 못했을 때 자행되는 보복 등은 고을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였다. 그래서 여러 사족 가문이 합심하여 조직적인 청원 활동과 여론전을 바탕으로 복현 운동을 추진하게 되고, 1637년 결실을 보았던 것이다.

[1653년 구사부곡 합속과 완읍(完邑)]

1637년 복현이 이루어지고 자인현감(慈仁縣監)이 파견되었지만, 자인 사람들이 기대하는 완전한 고을의 모습이 아니었다. 구사부곡이 여전히 경주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사부곡은 지금의 경산시 진량읍 일대로 고대에는 여량현(餘粮縣)이었으나, 고려 때 부곡으로 강등된 후 계속 경주에 소속되어 있었다. 하지만 구사부곡도 경주와 거리가 멀었기에 자연스레 인접한 자인 지역과 생활권을 공유하였다. 1632년 복현 상소를 구사부곡 출신의 백렴이 올렸던 것과 구사부곡 사족이 자인향교에 입학했던 것도 같은 생활권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자인 지역 사족들은 복현 운동의 세 번째 움직임으로서 구사부곡 합속을 청원하였고, 반대로 경주 지역 사족들은 합속을 반대하게 되는데, 그 양상은 자인의 여러 읍지와 경주 이씨 양월문중에 소장된 고문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사부곡 합속 청원은 복현 직후부터 진행된 것으로 보이지만, 자료는 1640년(인조 18)과 1653년(효종 4)의 것이 전한다. 먼저 1640년 합속 청원은 자인 사족 이몽두(李夢斗) 등이 올린 상소에서 비롯되었다. 이 시기 복현 운동에서 주목되는 점은 초대 자인현감 임선백(任善伯)의 활약이다. 임선백은 자인이 처음 독립한 고을임을 고려해 정부에서 의도적으로 파견한 인물로 구사부곡 합속을 둘러싼 두 고을의 갈등 속에서 자인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하였다. 하지만 이때도 경주 측은 강력하게 반발하며 합속을 저지했다. 1640년 이미 정부에서 문안에 대한 검토를 지시하였지만, 경주의 방계로 진전은 없었다. 두 고을 간의 치열한 여론전이 정부에서 펼쳐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구사부곡 합속을 둘러 싼 두 고을 간의 최대 쟁점은 생활권과 부세 문제였다. 먼저 구사부곡과의 생활권 공유는 자인에게 있어 합속의 가장 큰 명분이었다. 하지만 경주 측은 두 지역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문헌상의 근거가 없다며 반박하였다. 부세 문제는 실제 이해관계에 해당한다. 자인 입장에서 구사부곡 합속은 고을의 안정적 유지와 직결되는 문제였으며, 구사부곡 입장에서는 경주의 침탈에서 벗어날 기회였다. 반대로 경주는 구사부곡 이탈로 부세 행정이 불리해 질 수 있었기에 이를 저지하려 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두 고을의 치열한 여론전은 자인의 승리로 끝났다. 1653년 자인 사족 전우벽(田禹闢) 등이 올린 상소가 정부에서 받아들여졌고, 이후 구사부곡은 자인에 합속되어 북면으로 편제되었다. 70여 년간의 복현 운동이 자인현 완읍(完邑)으로 일단락된 것이다.

[자인현 복현 운동의 유산]

자인현 복현 운동은 역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소재이다. 복현을 실현하려는 자인 사람들과 이를 저지하려는 경주 사람들 간의 치열한 여론전이 전개되었는데, 그 양상이 여러 문헌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간 행정구역 개편의 목적과 의의는 통치의 주체인 중앙 정부의 입장에서 분석되었지만, 자인현 복현은 개편 당시 지역민의 복잡한 이해관계도 보여주기에 중요한 사례가 된다.

그런데 자인현 복현은 지역 정체성의 보존과 유지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행정구역이라는 것은 지역 정체성의 한 단위가 되기에 그 구역이 통폐합됨으로써 지역 정체성이 단절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1413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도 자인과 더불어 경주 속현으로 남은 안강(安康)·기계(杞溪)·신광(神光) 세 개의 현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히 경주의 면리(面里)로 재편되었다. 만약, 자인도 독립되지 않고 경주의 면리로 재편되었다면, 고대부터 이어져 온 지역 정체성도 자연스레 경주에 동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을 단위의 지역 정체성을 견인할 구심점이 해체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인 사람들은 경주로부터의 독립을 ‘복현(復縣)’이라고 정의하였다. 경주 소속의 몇 개 면으로 쪼개져 ‘자인’이라는 지역 정체성이 사라질 뻔한 위기를 극복하고 제자리를 찾았다는 의미이다.

현재 경산 지역에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경산자인단오제가 전승되어 오고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여원무(女圓舞)와 호장굿[가장행렬]은 다른 지역의 단오 행사와 비교되는 특징을 가진다. 고을 수호신 한장군(韓將軍)과 그를 기리는 진충묘(盡忠廟) 및 여러 한당(韓堂)의 존재도 이색적이다. 지역 정체성은 한 지역 내 문화적 동질성과 다른 지역 문화와의 변별성에서 비롯된다. 그렇기에 자인단오제·한장군·여원무 등은 자인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자인현 복현 운동이 저지되었다면, 그래서 경주 문화권에 동화되었다면, 자인 고유의 문화유산이 지금까지 전승되었을 것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다. 그렇기에 지역문화 정체성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자인현 복현 운동을 재조명하고 되새겨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