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369 |
---|---|
한자 | ‒蓮‒ |
영어공식명칭 | Prickly waterlily |
이칭/별칭 | 계두,계두실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희만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진못[가시연꽃 군락지] -
경상북도 경산시 신천동
![]() |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감못[가시연꽃 군락지] -
경상북도 경산시 갑제동
![]() |
성격 | 식물 |
학명 | Euryale ferox SALISB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 〉 미나리아재비목 〉 수련과 |
원산지 | 한국|일본|대만|인도|중국 |
높이 | 20~200㎝ |
개화기 | 7~8월 |
결실기 | 10~11월 |
경상북도 경산시에 서식하는 수련과의 한해살이풀.
가시연꽃은 전 세계적으로 1속 1종이 서식하는 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가시연꽃은 꽃의 모양이 닭 또는 기러기 머리 모양을 닮아서 계두(鷄頭)·계두실(鷄頭實)로도 불렸다. 최근 기후 변화로 동남아시아에서 우리나라 늪을 찾아오는 물꿩이 산란 장소로 이용하는 식물이기도 하다. 가시연꽃은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가시연꽃은 전체에 가시가 많고 줄기는 없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어린잎은 타원형인데, 가운데가 깊이 갈라진 화살촉 모양으로 가시가 없으나 성숙하면 원형으로 바뀌며 주름이 생긴다. 잎은 지름 20~120㎝로 맥 위에 가시가 있다. 앞면은 광택이 나고 주름이 져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며 잎맥이 돌출되어 있다.
잎자루는 뿌리에서 길게 나온다. 꽃은 7~8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꽃자루 끝에 하나씩 달린다. 꽃받침은 4장이고 녹색이며 통형(筒形)이다. 꽃잎은 많고 꽃받침보다 작다. 씨방은 8개로 합쳐져 있고 암술머리는 방석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漿果) 모양으로 표면에 가시가 퍼져 있다.
가시연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늪지나 연못 수면에 떠서 서식하며, 주로 종자로 번식한다. 경산시에는 신천동의 진못, 갑제동의 감못 등에서 군락을 이룬다.
가시연꽃의 열매는 말려서 사용하며 종자와 뿌리줄기는 강장제, 관절통, 통풍, 허리통, 설사, 결핵 등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