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100683 |
---|---|
한자 | 許應吉 |
영어공식명칭 | Heo Eunggil |
이칭/별칭 | 명철(明哲),희성당(希聖堂)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경산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553년![]() |
---|---|
활동 시기/일시 | 1584년 - 허응길 무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허응길 임진왜란 창의 |
활동 시기/일시 | 1593년 - 허응길 당교 전투 참전 |
활동 시기/일시 | 1597년 - 허응길 화왕산성 방어 |
활동 시기/일시 | 1601년 - 허응길 훈련원 부정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 - 허응길 선무원종공신 녹훈 |
몰년 시기/일시 | 1628년![]() |
추모 시기/일시 | 1937년 - 허응길 백곡서원 제향 |
추모 시기/일시 | 1974년 - 임진 창의 제공 하양사적비 건립 |
거주|이주지 | 허응길 거주지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 |
묘소 | 허응길 묘소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부리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병마사 |
조선 후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의병.
허응길(許應吉)[1553~1628]은 임진왜란 때 하양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허응길의 본관은 하양(河陽), 자는 명철(明哲), 호는 희성당(希聖堂)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허세훈(許世勳), 어머니는 별시위(別侍衛) 안리(安理)의 딸 광주 안씨(廣州安氏), 할아버지는 창릉 참봉(昌陵參奉)을 지낸 허린(許麟), 증조 할아버지는 감찰(監察)을 지낸 허만수(許萬壽)이며, 부인은 류극명(柳克明)의 딸 숙부인(淑夫人) 문화 류씨(文化柳氏)이다.
허응길은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일찍이 정로위(定虜衛)에 입속되었다. 1584년(선조 17) 무과에 급제하였고, 현풍 현감(玄風縣監)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하양현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593년(선조 26) 용궁 가수(龍宮假守) 재임 중 이안눌(李安訥)과 함께 함창 당교(唐橋)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곽재우(郭再祐)를 도와 화왕산성을 방어하였다. 1601년(선조 34)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병마사(兵馬使)에 올랐다.
허응길의 묘소는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부리 진촌(津村)에 있다.
허응길은 1605년(선조 38) 선무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1937년 후손들이 허응길을 제향하는 백곡서원(栢谷書院)[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곡로 543-4]을 건립하였다. 1974년 하양 출신의 임진왜란 의병장 8인을 기리는 임진창의제공하양사적비(壬辰倡義諸公河陽事跡碑)[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 133]가 세워졌다. 이 비석은 ‘하양팔의사비(河陽八義士碑)’라고도 불리는데, 허응길을 비롯해 신해(申海)·황경림(黃慶霖)·김거(金鐻)·허대윤(許大胤)·박능정(朴能精)·허경윤(許景胤)·박붕(朴鵬)의 공적이 기록되어 있다.